유아, 어린이, 청소년, 성인 정상 심박수는? (안정시 심박수 낮추는 법)

건강|2023. 1. 24. 06:43

심장은 연령에 따른 정상 심박수 범위에서 규칙적으로 뛰는데요. 일반적으로 영아는 빠른 심장 박동수를 보이며, 소아기, 청소년기가 되면서 점차 성인과 비슷한 심장 박동수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운동선수들은 일반 성인보다 낮은 심박수를 유지합니다. 오늘은 어린이, 청소년, 성인의 정상 심박수 범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상적인 심박수란?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를 말하는데요. 심박수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안정 시 심박수는 나이와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른데요. 나이별 안정 시 심박수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Natioanl Institues of Health)

 

  • 신생아 (출생~4주) : 분당 70 - 190회
  • 유아 4주~1세 : 분당 80 -160회
  • 1-2세 : 분당 80 - 130회
  • 3-4세 : 분당 80 - 120회
  • 5~6세: 분당 75 - 115회
  • 7~9세: 분당 70 - 110회
  • 어린이 및 청소년 (10~18세) : 분당 60 - 100회
  • 성인(18세 이상):  분당 60 - 100회
  • 앨리트 운동선수: 분당 40 - 60회

 

 

 

나이 안정시 정상 심박수
신생아 (출생~4주)  70 - 190회
유아 4주~1세  80 -160회
1-2세 80 - 130회
3-4세 80 - 120회
5~6세 75 - 115회
7~9세 70 - 110회
어린이 및 청소년 (10~18세) 60 - 100회
성인(18세 이상) 60 - 100회
앨리트 운동선수 40 - 60회

 

심박수 측정하기

 

스마트 워치를 통해 심박수를 측정할 수도 있고요. 목에 있는 경동맥이나 손목에서 뛰는 맥박을 찾아 1분 동안 심박수를 세거나, 15초 동안 심장 박동을 센 뒤 4를 곱하여 1분 동안 뛴 심장 박동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맥박을 재기 전에 안정과 휴식을 취해야 하고, 맥박을 재기 가장 좋을 때는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나기 전이라고 하네요.

 

 

 

 

안정 시 심박수가 높은 원인

 

안정시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데요. 높은 심박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열
  • 통증
  • 감염
  • 탈수
  • 수면 부족
  • 카페인, 알코올 또는 니코틴 섭취 또는 금단 현상
  • 스트레스와 불안
  • 흡연
  • 컨디션 불량

 

 

 

안정 시 심박수를 낮추는 방법

 

안정 시 심박수가 높다고 해서 바로 위험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건강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정 시 심박수를 낮추면 심장마비나 뇌졸중에 걸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안정 시 심박수를 서서히 안전하게 낮추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과 신체활동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집안일 등)입니다 WHO에서 건강한 성인은 일주일에 중간 강도의 유산소 운동 (빠르게 걷기)은 150분, 근력 운동은 일주일에 3일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운동과 더불어 건강한 식생활이 안정 시 심박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것들 중 본인의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을 해소하는 것으로 심박수를 낮출 수 있겠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