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투 상장 일정, 주관사, 증권사 청약 수량 및 수수료
K뷰티 전도사라고 불리는 실리콘투는 국내 대표 K뷰티 플랫폼인 '스타일코리안'을 운영하며 해외로 한국 화장품을 유통하는 기업입니다. 해외에 물류센터를 보유하고 있어 배송 기간 및 물류비 절감 측면이 다른 경쟁사 대비 강점이라고 하는데요. 9월 중순에 일반 공모주 청약 일정이 예정되어 있는,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인 실리콘투 상장 일정, 주관사, 청약 수량 및 수수료와 간단하게 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리콘투 공모 개요
실리콘투 공모개요 |
|
설립일 | 2002년 1월 19일 |
대표이사 | 김성운 |
업종 | 상품 종합 도매업 |
주요제품 | 화장품 |
상장 주간사, 증권사 | 미래에셋 삼성증권 |
확정공모가 | 27,200원 |
예상 시가총액 | 최대 2728억 원 |
최소청약 증거금 (10주) | 136,000원 |
기관 수요 예측 | 9월 9일 - 10일 |
우리 사주조합 청약 | 9월 14일 |
일반 투자자 청약 | 9월 14일 - 15일 |
환불 및 배정일 | 9월 17일 |
상장일 | 9월 29일 |
실리콘투 주간사 및 증권사별 수수료
실리콘투 청약 증권사는 삼성증권과 미래에셋증권 2곳입니다. 두 증권사 모두 청약 수수료는 온라인, 일반 등급 기준으로 2,000원이고, 청약 증거금을 환불 시 징수하므로 따로 수수료는 입금하지 않아도 됩니다. 공모주가 배정이 안된 경우는 청약 수수료는 면제입니다.
청약 수수료 (온라인, 일반 기준)
- 삼성증권 : 2,000원
- 미래에셋 : 2,000원
실리콘투 증권사별 청약수량
이번 실리콘투는 신주 156만 주(94.32%)와 구주 매출 9만4천 주(5.68%)를 공모합니다. 일반 청약자 배정 물량은 41만 주로 삼성증권이 24만주로 미래에셋 16만 주보다 더 많이 배정되었네요.
균등 물량 | 비례 물량 | |
삼성증권 | 124,050주 | 124,050주 |
미래에셋 | 82,700주 | 82,700주 |
실리콘투 청약 증거금 및 청약 한도
실리콘투 균등 배정을 위한 최소 청약 주수는 10주이며, 청약 증거금으로는 136,000원이 필요합니다 (10주 X 27,200원 ÷ 2 = 136,000원).
삼성증권 청약 한도
미래에셋 청약 한도
실리콘투 공모가 산출
비교기업으로 코리아센터, 브랜드엑스 코퍼레에션, Revolve group 총 3곳을 최종 선정했네요. 이 세 기업의 2021년 반기 실적을 연환산하여 평균 PER 44.71배를 구했고, 여기에 실리콘투 20201년 반기 순이익에 적용하여 주당 평가가액 45,061원으로 산출했습니다. 평가액에 할인율 47.18% - 39.64%를 적용하여 희망 공모가액 밴드는 23,800원 - 27,200원으로 정했네요. 적용한 할인율은 2021년 코스닥 상장 평균할인율인 38.79% - 23.78%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실리콘투 장외주식 가격
실리콘투는 장외주식이 없어 가격을 알 수 없었지만, 장외시장 거래에서 '삽니다' 희망 가격이 35,000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희망 공모가 상단대비 128%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네요. 실제 장외주식이 아니니 그냥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실리콘투 유통가능 주식수
확정 공모가액 결정 후 기준 시가총액이 2000억 원 기준으로 유통가능 물량이 달라집니다. 공모가가 상단 밴드에서 확정될 경우 시가총액이 약 2728억 원이니, 두 번째 시나리오를 생각하면 될 것 같네요.
- 기준 시가총액이 2000억 원 미만시 유통가능 물량은 275만 주로 총 주식수의 27.41%이며, 금액으로는 약 747억 원입니다.
- 기준 시가총액이 2000억원 이상시 유통가능 물량은 374만 주로 총 주식수의 37.29%이며, 금액으로는 약 1017억 원입니다.
실리콘투 간단히 알아보기
실리콘투는 한국 화장품을 직매입해서 이커머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의 기업 및 개인들에게 판매하는 것으로 가장 큰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 약 200여 개를 취급하고 전 세계 120여 국에 판매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사업으로 물류창고 구축을 통한 풀필먼트 사업, 의류와 음식료 판매 등으로 사업영역을 늘려가고 있다고 하네요.
물류센터는 국내뿐 아니라 미국, 쿠웨이트, 칠레,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 현지에서도 운영되고 있다고 합니다. 눈에 띄는 것이 로봇을 이용하여 주문에 맞는 물건을 찾아 운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지에 물류센터가 있으니 배송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고, 로봇 물류 시스템으로 인건비를 줄이면서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 같네요.
제품을 사서 유통을 하는 것이라 매출원가는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최근 3개년도를 보면 매출과 당기순이익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모습이네요.
한국 화장품에 대한 해외 인식도 좋고,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 대한 전망도 좋아 보여서, 수요예측 잘 지켜보며 공부를 더 해본 뒤 투자 결정해봐야겠습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체크 포인트
- 기관경쟁률 : 1437.63대1
- 의무보유확약 신청 : 8.5%
- 상장 후 유통물량 : 1017억 원
- 장외가 공모가대비 128%
- 환매청구권 X
※ 개인 투자자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포스팅이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성투를 기원합니다.
관련 글
'재태크 x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리츠 공모 상장 청약 일정, 주관사 (리츠 투자 주의사항, 위탁관리 vs 자기 관리) (0) | 2021.08.24 |
---|---|
프롬바이오 상장 일정, 주관사, 증권사 청약 수량 및 수수료, 장외가, 기업 분석 (0) | 2021.08.21 |
바이오플러스 상장 일정, 주관사, 증권사 청약 수량 및 수수료, 장외가, 수요예측 결과 (0) | 2021.08.19 |
에이비온 상장 일정, 주관사, 증권사별 청약 수량 및 수수료 (0) | 2021.08.18 |
에스앤디 상장 일정, 주관사, 청약수량 및 수수료 (유진투자증권 현금 이벤트)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