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연금포털, 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가입 연금 확인하는 법, 18년차 직장인 연금예상수령액)
노후준비로 연금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의 통합 연금포털에서 가입된 연금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고, 연금 예상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통합 연금포털에서 적어도 1년에 1번은 연금수령액을 확인해볼 것을 강조하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한 번 해봤습니다.
통합 연금포털에서 연금 조회하기
[통합연금포털] 이라고 검색하면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에 대한 통합 조회서비스를 할 수 있는 사이트가 나와요.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내 연금 조회]를 누르면,
연금정보 통합조회 서비스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영업일 기준으로 3일 후부터 조회가 가능하고, 매월 말 연금정보가 업데이트가 되어서 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실명인증을 하고 공동 인증서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을 거쳐야 합니다.
신청이 완료되면 언제부터 연금조회가 가능한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18년차 직장인 연금수령액 조회
연금 조회를 하면 엑셀로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저는 18년 차 직장인이고, 연금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었어요. 확인해보니 국민연금, 퇴직연금(DC), 연금저축계좌가 있다고 나오네요. 연금 개시일이 나와 있는데, 이건 변경이 가능한 날짜라고 합니다. 상품마다 연금 개시할 수 있는 연령대가 다르고, 연금 수령 나이대에 따라 세율도 다르게 적용된다고 하니 공부를 더 해야겠어요. 엑셀자료 오른편으로 쭉 나이별 예상 연금수령액을 알 수 있는데요. 너무 길어서 보기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나이별로 받을수 있는 예상수령액을 보기좋게 재원별로 엑셀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국민연금은 65세부터 평생 나오는 것이고, 나머지 퇴직연금, 연금저축펀드는 20년에 나누어 받는 걸로 지정해놨나 봐요.
연도별로 받을 수 있는 연금을 보기 쉽게 월별 연금수령액으로 정리해 보니까, 퇴직연금과 연금저축펀드로는 매월 100만원, 거기에 국민연금이 더해지니까 250-300만 원 정도 수령하게 되는 것 같네요.
앞으로 10년 정도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연금저축에 연금을 모아갈 생각이고요. 퇴직연금은 현재는 그냥 방치해 뒀는데 앞으로는 지수추종 ETF로 투자할 계획입니다. 다음에 현재 국민연금, 퇴직연금, 연금저축에 각각 얼마씩 붓고 있는지 포스팅해 볼게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부모님 노후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뇌졸중 통원 치료 가능한 곳 찾기 (미추홀병원) (0) | 2023.04.12 |
---|---|
2023년 65세 기초연금 수급자격 자가진단 (0) | 2023.01.12 |
연금 연간수령액 1200만원 한도가 적용되는 연금종류 (연금저축, IRP) (0) | 2022.06.19 |
국민연금 연기연금 할까? (수령시기 연장, 국민연금 재투자) (0) | 2022.06.16 |
국민연금 가입여부, 납부액 조회,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현재 가치 vs 미래가치)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