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5세 기초연금 수급자격 자가진단

부모님 노후 준비|2023. 1. 12. 06:58

2023년 65세 10명 중 7명이 받으시는 기초연금 수령액이 인상되었습니다. 물가가 상승했으니 그에 맞추어 선정기준액과 기초연금 수령액에 변화가 생겼는데요. 자가진단 하는 방법과 얼마 수령하게 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자가진단

 

국내거주, 65세 이상,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을 넘지 않으면 기초연금 수급대상입니다. 하지만, 국내 거주, 나이, 소득은 충족하지만 대상에서 제외되는 상황이 있어요.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 보세요.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제외대상이 아니라면 이제 소득인정액 모의 계산으로 수급자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홈페이지에 보면 소득인정액 모의계산이라고 나와요. 순서대로 상황에 맞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입니다.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 참여마당 : 기초연금

기초연금제도 소개, 대상, 혜택, 보도자료, 홍보영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asicpension.mohw.go.kr

 

기초연금은 소득과 재산 뿐 아니라 국민연금 수령액도 중요하기에,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과 근사치의 금액을 계산하려면 국민연금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하라고 하네요. 저는 일단 임의로 해볼 거라 복지로 모의계산으로 해볼게요. 

 

 

부부가구, 대도시 거주, 근로소득 320만원, 재산소득 40만 원, 주택 1억 원 소유, 금융재산 5천만 원, 부채 2천만 원으로 모의 계산해 보니 소득인정액으로 계산된 것이 192만 원으로 나오네요. 소득인정액이 부부가구 선정액인 323만원을 넘지 않으므로, 수급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이 있다고 합니다.  

 

 

 

기초연금 수령액

 

2023년에는 단독 가구 기준으로 최대 32만 3,180원을 받고, 부부 가구 기준으로는 최대 51만 7,080원을 받게 됩니다.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 대상일 경우에는 20%가 감액돼서 64만 원이 아닌 51만 원인 것입니다. 

 

출처 정책브리핑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동시 수령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은 동시에 수령이 가능하고요. 국민연금이 485,770원 이하라면 기초연금을 감액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대략적으로 국민연금 50만원이면 약 16,000원 감액, 60만 원이면 5만 원 감액, 70만 원이면 8만 원 감액, 80만 원이면 11만 6천 원 감액, 90만 원 이상이면 약 15만 원이 기초연금에서 감액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예를 들어 국민연금으로 100만 원을 받으신다면, 최대 15만 원이 감액되니, 기초연금은 단독 가구 기준으로는 약 17만 원 정도 기초연금이 나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응형

댓글()